J Navig Port Res > Volume 44(4); 2020 > Article
마리나 개발 활성화를 위한 개발 결정요인 분석

요 약

본 연구는 마리나 개발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마리나 개발을 활성화하고, ‘2차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의 효과적인 이행 과 마리나 산업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개 권역 5곳의 마리나 개발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 3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마리나 개발 결정요인으로는 일반적 특성인 연령, 소득수준, 이해집단, 거주지역 그리고 갈 등원인인 집단 이기주의, 개발과정 배제, 환경문제 요인이 포함되었으며, 종속변수로는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찬성/반대)와 마리나 개발 갈 등유형(이익갈등, 가치갈등)으로 이분화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유효표본은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 분석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소득수준, 이해집단, 거주지역, 거주기간 요인이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리 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 분석결과 갈등원인에서는 집단이기주의 요인과 개발과정 배제 요인이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 결정요인 분석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소득수준, 거주지역 요인이 마리나 개발 갈 등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ivate marina development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development determinants of the marina, to provide the basic date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2nd Marina Port Basic Plan' and marina industrial development. To accomplish the study goal,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356 locals residing in five marina development regions of three districts. The factors relative to the marina development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income level, interest group, residential area, and the reasons of conflicts such as collectivism, exclusion from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e marina development pros and cons (approval or opposition) and marina development conflict types (profit or value conflict)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o perform the technical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rina development pros and cons, age, income level, interest group, residential area, and residence period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Second, the factors of collectivism and exclusion of development process among the causes of conflict were significant. Third, age, income level, and residential area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factors.

1. 서 론

최신 관광트렌드의 변화와 함께 해양레저시장은 성장을 거 듭하고 있다. 과거 해안 경관 감상이나 해수욕 활동으로 대표 되던 해양레저 활동은 레저 선박, 수상레저기구, 서핑 등 해양 레저장비를 이용하는 활동으로 변화되고 있어 해양레저 활동 의 기반시설이자 복합 문화공간인 마리나의 중요성은 더욱 높 아지고 있다(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0). 이에 정부에서는 2009년 ‘마리나 항만 조성 및 관리 등에 관한 법 룰’을 제정 공포하였고, 2010년 ‘제1차(2010~2019)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을 고시하여 해양레저⋅스포츠를 활성화하고, 신성 장동력인 마리나 산업을 육성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 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이후에도 해양 신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마리나 산 업 전략적 육성대책’, 해양레저 활동의 안전성 제고와 어항 활 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어촌 마리나역’사업, 국내 레저 선박의 유통 및 연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마리나 비즈센터 건립’ 등 을 추진 중이다. 또한, 최근에는 지난해 종료된 ‘제1차 (2010~2019)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에 이어 ‘제2차(2020~2029)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을 고시하여 마리나 항만의 발전과 연안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유도하기 위한 노력 을 기울이고 있다((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20).
이처럼 정부는 마리나 산업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 울이고 있으나 그 노력에 비해 성과는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거점 마리나의 경우 1차 준공을 완료하고 2차 공사가 진행 중 인 울진 후포 마리나와 최근 착공된 창원 명동 마리나(Choi, 2020)를 제외하고는 모두 계획단계에 있거나, 사실상 개발이 좌초되었다. 이는 시행사 선정의 문제, 지역주민과의 갈등, 개 발과정에서의 막대한 예산으로 인한 문제의 결과일 것이다. 특히, 10여년째 표류 중인 ‘수영만 요트경기장 재개발’ 문제 (Kim, 2019.), ‘두호 마리나 개발 사업’의 표류(Lee, 2020), 사 업 자체가 지지부진해진 ‘당진 왜목 마리나’(Ji, 2020), 환경 훼 손을 이유로 개발 반대 여론에 부딪힌 ‘운촌 마리나 개발 사 업’(Kim, 2020) 등 환경 훼손, 어업 보상 문제, 레저 선박 통행 으로 인한 갈등 등으로 개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최근 학계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인지하 고 마리나 개발과 관련된 연구들(Jang, 2013; Jang and Ha, 2016; Kang, 2013; Kim, 2011; Park, 2013; Suh and Kang, 2016; Suh and Kim, 2010)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Kang(2013)은 전곡항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한 통합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마리나 개발 에 따른 지역사회 및 지역주민의 변화와 의식을 규명하여 실 천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Kim(2011)은 문헌 고찰과 사례분석 을 통하여 마리나 개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 하였다. Park(2013)은 문헌 고찰과 설문을 통해 해양레저관광 과 마리나가 지역에서 지속적인 발전과 개발 지지를 얻기 위 해 관련 이해집단들이 가져야 할 올바른 협력관계의 기준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마리나 개발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하지만 대다수의 연구가 특 정 지역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지역별 특성에 따라 산재하고 있는 문제가 상이한 마리나 개발 현장에 적용하기란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역민과의 갈등이 봉합 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리나 개발이 진행될 경우 현재의 악순 환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는 판단하에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10년간 추진된 ‘1차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이 끝나 고, 새로이 10년간 추진될 ‘2차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이 시행 되는 현시점에서 마리나 개발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본 연구는 매우 시의적절한 연구라 할 수 있 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리나 개발 결정요인을 실증적 으로 분석하여 마리나 개발을 활성화하고, ‘2차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의 효과적인 이행과 마리나 산업발전을 위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 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지역 주민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개발지역 주민들의 갈등원인은 마리나 개발 찬/반 여 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개발지역 주민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본 연구의 설문조사를 위한 연구대상은 3개 권역 5곳의 마리 나 개발지역의 이해집단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비확률표본추 출법(Non- Probability Sampling) 중의 하나인 유의표본추출법 (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설문조 사는 3개 권역 5곳의 마리나 개발지역에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 여 설문 문항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한 다음 설문지를 배포 후 현장에서 회수하였다. 총 3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56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수집된 356부의 설문지 중 조사 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한 것으로 판단되는 자 료 14부를 제외한 총 342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Division Frequency (n) Percentage (%)
Age 30s or less 89 26.0
40s 75 21.9
50s 85 24.9
60s 59 17.3
70s and above 34 9.9
Income level 20 million won or less 84 24.6
2,000 ~3,500 148 43.3
3,500 ~5,000 75 21.9
50 million won and above 35 10.2
Stake holder groups Fishers 135 39.5
Leisure workers 78 22.8
Ordinary residents 129 37.7
Region West sea region Hwaseong 61 17.8
Dangjin 46 13.5
Eastsearegion Uljin 154 45.0
South searegion Busan 38 11.1
Changwon 43 12.6

2.2 조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5문항, 마 리나 개발 찬/반 여부 1문항, 갈등유형 1문항, 갈등원인 11문 항으로 구성되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마리나 개발 찬/반 여 부, 갈등유형은 명목척도로 측정되었으며, 갈등원인은 리거트 (Likert Scale)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갈등원인에 관한 변수 는 선행연구(Kim, 2009; Kim, 2000; Lee, 2011; Yang, 2017)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집단 이기주의 요인, 개발과정 배 제 요인, 환경문제 요인으로 수정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앞서 설문지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3차례에 걸쳐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 문항의 대표성과 적절성을 확 보하였다. 갈등원인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신뢰 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확인하였다. 갈등원인의 측정 문항 중 수질오염 문항이 두 가지 요인에 비슷한 값으로 적재되어 제거하고, 총 10문항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 문항의 요인분석 결과, 전체 설명력을 의미하는 총 분 산의 값은 72.442로 약 72%의 설명력을 보이고, 전체적인 갈 등원인은 3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어 각각 환경문제 요인, 집단 이기주의 요인, 개발과정 배제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측정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정 도를 나타내는 KMO 측도는 .826으로 나타났고, Bartlett의 단 위행렬 검정은 1634.449일 경우 유의확률 .000으로 나타나 유 의한 요인분석으로 검증되었다. 신뢰도 값은 환경문제 요인 .884, 집단 이기주의 요인 .847, 개발과정 배제 요인 .719로 비 교적 높게 나타나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 석과 신뢰도 분석의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Division Ingredient
Environmental problems Selfishness Excluding development process
Inconvenience .843 .223 .152
Safety accident risk .833 .264 .161
Increased constraints .817 .222 .168
Marine debris increase .806 .067 .121
Regional development inhibition .095 .893 .076
Personal damage .243 .880 .155
Fuel cost increase .286 .756 .004
Fairness of the procedure .147 .067 .820
Development and compensation .112 .151 .795
Provide information .158 -.007 .736
Eigen values 2.923 2.344 1.968
Dispersion(%) 29.323 23.438 19.681
Cumulative(%) 29.323 52.761 72.442
Reliability .884 .847 .719
KMO = .826, χ2 = 1634.499, df = 45, p < .001

2.3 자료처리

마리나 개발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집된 342부의 설 문지를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참 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 갈등유 형, 갈등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마리나 개발 결정요인을 알아보 기 마리나 개발 찬/반 요인과 갈등유형을 종속변수로 한 로지 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3. 연구결과

3.1 기술통계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 갈등유형 및 갈등원인에 대한 기 술통계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는 찬성이 78.7%, 반대 21.3%로 나타났다. 갈등유형은 이익갈등 이 51.2%, 가치갈등이 48.8%로 나타났다. 갈등원인의 평균값 은 개발과정 배제 요인, 환경문제 요인, 집단 이기주의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s
Division Variables n/M %/SD
Category Whether to agree Agree 269 78.7
Opposition 73 21.3
Type of conflict Interest conflict 175 51.2
Value conflict 167 48.8
Continuity Cause of conflict Selfishness 2.46 .95
Excluding development process 3.61 .74
Environmental problems 3.40 .92

3.2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

본 연구에서는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 해 ‘찬성’ 또는 ‘반대’로 이분화된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연령, 소득 수준, 이해집단, 거주지역과 갈등원인인 집단 이기주의, 개발 과정 배제, 환경문제 요인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였다.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를 이분화 하여 설정된 로지스틱 회 귀모형은 전반적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χ2=5.189, p=.737). 또한, Cox & Snell R2과 Nagelkerke R2 이 각각 .320과 .496으로 계산되어 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2.0%에서 49.6%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연령, 소득 수준, 이해집단, 거주지역 요인이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요인에서는 40대 보다 70대 이상의 반대가 7.66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 요인에서는 2,000만원 이하의 소득을 가진 사람보다 5,000만원 이상의 소득을 가진 사람의 반대가 5.004배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이해집단 요인에서는 일반주민 집단보다 어업 종사자 집단의 반대가 3.520배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역 요인 에서는 동해안권 거주민보다 남해안권 거주민의 반대가 4.703 배 높게 나타났다.
한편 갈등원인에서는 집단 이기주의 요인과 개발과정 배제 요인이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집단 이기주의 요인에서는 갈등원인이 한 단계 증가할수록 마리나 개발을 반대할 가능성이 3.233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과정 배제 요인에서는 갈등원인이 한 단계 증가할수록 마리나 개발을 반대할 가능성이 2.577배 높 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의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
Determinants of Whether to agree of marina development
Variables B Sig Odds Ratio
Age (1) 30s or less .612 .312 1.844
50s .804 .139 2.235
60s .849 .153 2.338
70s and above 2.036 .004** 7.660
Income level (2) 2,000 ~3,500 .762 .137 2.143
3,500 ~5,000 .890 .128 2.436
50 million won and above 1.610 .029* 5.004
Stakeholder groups (3) Fishers 1.258 .009** 3.520
Leisure workers .216 .714 1.241
Region (4) West sea region .210 .632 1.234
South sea region 1.548 .001** 4.703
Cause of conflict Selfishness 1.174 .000*** 3.233
Excluding development process .947 .001** 2.577
Environmental problems -.261 .262 .770

Comparison group: (1) 40s, (2) 20 million won or less, (3) Ordinary residents, (4) East sea region

* : p<.05, ** : p<.01, *** : p<.001

3.3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 결정요인

본 연구에서는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익갈등’ 또는 ‘가치갈등’으로 이분화된 요인을 로지스 틱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인 연령, 소득수준, 이해집단, 거주지역과 갈등원인인 집단이기 주의, 개발과정 배제, 환경문제 요인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였다. ‘이익갈등’ 또는 ‘가치갈등’으로 이분화하여 설정된 로지스 틱 회귀모형은 전반적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χ2=16.636, p=.034). 또한, Cox & Snell R2과 Nagelkerke R2이 각각 .141와 .189로 계산되어 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4.1%에서 18.9%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연령, 소득 수준, 거주지역 요인이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요인에서는 70대 이상보다 30대 이하는 7.362배, 40대는 8.448배, 50대는 6.116배, 60대는 6.612배 가치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 요인에서 는 2,000만원 이하의 소득을 가진 사람보다 3,500만원에서 5,000만원의 소득을 가진 사람이 2.183배, 5,000만원 이상의 소 득을 가진 사람이 3.304배 가치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 요인에서는 동해안권 거주민보다 서해안권 거주민 이 2.132배, 남해안권 거주민이 2.005배 가치갈등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 결정요인의 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
Determinants of type of conflict in marina development
Variables B Sig Odds Ratio
Age (1) 30s or less 1.996 .002** 7.362
40s 2.134 .001** 8.448
50s 1.811 .003** 6.116
60s 1.889 .002** 6.612
Income level (2) 2,000 ~3,500 .422 .187 1.525
3,500 ~5,000 .781 .038* 2.183
50 million won and above 1.195 .012* 3.304
Stakeholder groups (3) Leisure workers .502 .173 1.653
Ordinary residents .525 .095 1.691
Region (4) West sea region .757 .008** 2.132
South sea region .696 .040* 2.005
Cause of conflict Selfishness .091 .535 1.096
Excluding development process -.140 .441 .869
Environmental problems .233 .123 1.262

Comparison group: (1) 70s and above, (2) 20 million won or less, (3) Fishers Ordinary residents, (4) East sea region

* : p<.05, ** : p<.01, *** : p<.001

4. 논 의

본 연구는 마리나 개발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과 갈등유형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마 리나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한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결과는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 결정요인은 마리나 개발 찬 반 결정요인 분석에서 도출된 요인을 중심으로 갈등유형을 분 석하고, 갈등 해결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소득수준, 이해집단, 거주지역, 거주기간 요인이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연령 요인에서는 40대보다 70대 이상의 마리나 개발 반 대가 7.66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역사 회에 대한 애착심이 높은 사람일수록 관광 개발을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는 Um and Crompton(1987)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70대 이상의 연령층은 대부분 일생을 해당 지역에서 살아와 지역에 대한 애착심이 타 연령층에 비해 매우 높다. 따라서 원 활한 마리나 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로 발생 될 긍정적인 요소 를 부각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전환하여야 한다. 계획단계에서 실현 불가능한 약속은 개발 이후 더 큰 화로 돌아올 가능성이 크므로 실현 가능한 범위 내의 약속인 진입도로 정비, 지역경 제 활성화, 주변 인프라 구축 등의 이점을 부각하여 전 연령층 에게 마리나 개발의 긍정적 이미지를 심어주어야 할 것이다.
소득수준 요인에서는 2,000만원 이하의 소득자보다 5,000만 원 이상 소득자의 마리나 개발 반대가 5.004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소득층에 속하는 지역주민들이 관광 개발 에 따른 환경 및 사회적 변화에 대한 우려가 높다고 나타난 Lim and Go(2012)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고소득자의 경우 저소득자에 비해 현재 상황에 만족하고, 변화가 발생하면 나 타날 수 있는 변수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마리나 개발로 인한 지역사회와의 현실적인 상생 방안을 제시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마리나를 선진국형 다기능 복합시설을 갖춘 시설로 개발하여 지역주민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Jung and Yoo, 2017) 저소 득층의 마리나 개발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한 노력 역시 필요할 것이다.
이해집단 요인에서는 일반주민 집단보다 어업종사자 집단 의 반대가 3.520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 들(Jand and Ha, 2016; Kang and Kim, 2013; Lee et al, 2019) 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타 집단 에 비하여 어업종사자 집단이 직접적인 이해관계에 있어 나타 난 결과로써 마리나 개발로 인한 어민 생존권 위협, 어선 정박 시설의 축소, 입출항 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증가 등에 대한 우려에서 발현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안전관리체계, 통항 관리체계, 어장피해 축소방안 등(Kim et al, 2015; Kim, 2020; Kim and Hong, 2006)과 같이 어업종사자의 우려를 근본적으 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거주지역 요인에서는 동해안권 거주민보다 남해안권 거주 민의 반대가 4.703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Jang and Ha(2016)의 연구에서 나타난 민간투자방식을 통한 마리 나 개발에서 발현된 문제로 생각된다. 동해안권의 후포 마리 나는 전액 국비와 지방비로 개발하고 있어 큰 어려움 없이 개 발 중이지만 남해안권의 수영만 요트경기장은 개발사와 부산 시와의 갈등과 호텔의 위치, 수리소 소음 및 분진 등으로 인한 지역주민과의 갈등 등으로 10여 년간 개발이 답보 상태에 있 다. 이러한 문제들은 지역 거주민들이 마리나 개발을 부정적 으로 인식하게 되는 주요 요인으로 보인다. 따라서 주민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남해안 지역에서는 지역민들 에게 개발계획의 정보를 제공하고, 개발계획에 참여시키는 등 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Kim, 2020).
둘째,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 분석 결과 갈등원인에서 는 집단이기주의 요인과 개발과정 배제 요인이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이 기주의 요인에서는 갈등이 한 단계 증가할수록 마리나 개발을 반대할 가능성이 3.23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 발과정에서의 이권, 본인의 경제적인 손실 등을 우려하여 나 타난 결과로써 쓰레기 분리수거장으로 인한 개발 갈등에서 지 역 주민 간 집단이기주의로 인한 유치반대의 결과가 나타난 Yoon(2004)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협의체 구성, 인 식개선 교육, 분쟁조정 중개인 선임 등이 효과적인 인식개선 방안일 것이다(Kim, 2020).
개발과정 배제 요인에서는 갈등이 한 단계 증가할수록 마 리나 개발을 반대할 가능성이 2.577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관광 개발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이 개발과정에서 배 제되면서 나타난 부정적 인식이 나타난 Lee(2011)의 연구 결 과와 유사하다. 또한, 본 결과와 앞서 제시된 거주지역에 따른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은 유사한 결과로써 지역 협의체 구성과 마리나 개발계획에 대한 정보제공이 마리나 개발에 대 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는 것에 있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 결정요인 분석 결과 인구통계 학적 특성 중 연령, 소득수준, 거주지역 요인이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요 인에서는 70대 이상보다 30대 이하는 7.362배, 40대는 8.448배, 50대는 6.116배, 60대는 6.612배 가치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70대 이상의 연령층이 타 집단에 비해 이익갈등의 형태로 갈등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70대 이상은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에서 마리나 개발 결정요인 으로 나타나 이들을 위한 갈등 해결방안이 요청된다. 우선 70 대 이상의 갈등유형이 이익갈등의 형태로 나타난 이유는 Shim and Choi(2007)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고령자는 관광 개발정책에 따른 공동체 훼손을 우려하고, 이행강제금 부과 등과 같은 금전적 피해를 느끼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저 연령층보다 높아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앞서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의 논의에서 제시된 내용과 더불어 선행연구들(Kang, 2013; Kim, 2020; Kim and Hong, 2006)에서 제시된 조합구성을 통한 수익창출, 지역 숙원 사업 지원 등의 경제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소득수준 요인에서는 2,000만원 이하의 소득을 가진 사람보 다 3,500만원에서 5,000만원의 소득을 가진 사람이 2.183배, 5,000만원 이상의 소득을 가진 사람이 3.304배 가치갈등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에서 5,000만원 이상의 소득자가 마리나 개발 결정요인으로 나타나 가치갈등의 형태로 갈등이 나타나는 이들을 위한 갈등 해결방 안이 요청된다. 따라서 원활한 마리나 개발을 위해서는 선행 연구들(Kim et al, 2006; Kim, 2020; Park et al, 2014; Yang, 2017)에서 제시된 협의체 구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의사소통 을 하고, 갈등을 중재하여야 할 것이다.
거주지역 요인에서는 동해안권 거주민보다 서해안권 거주 민이 2.132배, 남해안권 거주민이 2.005배 가치갈등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이중 남해안권 거주민은 마리나 개발 찬반 결 정요인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나 가치갈등이 관광 개발 시 주민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Yang(2017)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이들을 위한 갈등 해결방안이 요청된다. 따라서 원 활한 마리나 개발을 위해 앞서 언급된 개발계획 정보제공, 개 발계획 참여와 더불어 협의체 구성, 분쟁조정 중개인 선임을 통한 갈등 해결 도모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Kim et al, 2006; Kim, 2020; Park et al, 2014; Yang, 2017).

5. 결 론

본 연구는 마리나 개발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마리나 개발을 활성화하고, ‘2차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의 효 과적인 이행과 마리나 산업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개 권역 5곳의 마리나 개발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소득수준, 이해집단, 거주지역, 거주기간이 마리 나 개발 찬/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40대보다 70대 이상의 연령층과 2,000만원 이하의 소득자 보다 5,0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의 마리나 개발 반대에 대한 가능성이 더 높다. 또한, 일반주민보다 어업종사자, 동해안권 거주민보다 남해안권 거주민의 마리나 개발 반대에 대한 가능 성이 더 높다.
둘째,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 분석결과 갈등원인에서 는 집단이기주의 요인과 개발과정 배제 요인이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 역주민들의 집단 이기주의 성향이 높고, 개발과정에서 자신이 속한 집단을 배제한 사업추진 시 마리나 개발을 반대할 가능 성이 더 크다.
셋째,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 결정요인 분석 결과 인구통계 학적 특성 중 연령, 소득수준, 거주지역이 마리나 개발 갈등유 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70대 이상보 다 상대적으로 적은 연령층의 사람들과 2,000만원 이하의 소 득자보다 상대적으로 고소득자인 3,500만원에서 5,000만원의 소득자, 5,000만원 이상의 소득자들의 가치갈등이 더 높다. 또 한, 동해안권 거주민보다 서해안권 거주민과 남해안권 거주민 의 가치갈등이 더 높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마리나 개발 지역주민 들의 개발 결정요인에 따라 적합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적 용한 결과를 중심으로 마리나 개발의 활성화를 도모하여야 한 다. 이와 더불어 개발과정에서 협의체 구성, 개발계획 정보제 공, 개발계획 참여, 인식개선 교육, 분쟁 조정중개인 선임, 조 합구성을 통한 수익창출 등을 정립하여 마리나 개발 시 활용 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Choi, J. H.2020.06.30.), Southeast Seas Base Marina ‘First Shovel’, http://www.hdhy.co.kr.
2. Jang, J. Y.2013. “A utilitarianismism approach to ara-marina, arabatgil for activation of leisure marine sports”, Pusan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3. Jang, S. H. and Ha, J. H.(2016 “Critical Review of Marina Port Development Project from Viewpoint of Neo-Liberalistic Spatial Restructuring”,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64, pp. 475-492..
4. Ji, N. Y.2020), Why is the Dangjin Wagmo Marina project sluggish, http://www.idjnews.kr .
5. Jung, S. B. and Yoo, D. G.(2017 “A Study on Expectation Factors of Regional Development for the Local Marina Port, Local Resident's Satisfaction and Cooperative Intention”, The Korea Journal of Sport, Vol. 15, No. 2, pp. 23-35..
6. Kang, M. G. and Kim, W. S.(2013 “Residents' expectations, social trust and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Marina Development as the Marine Leisure Sports Faciliti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Vol. 26, No. 3, pp. 53-77.
7. Kang, M. G.2013. “Change of Residents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Marina Development as the Marine Leisure Sports Facilities”, Inha University, PhD Dissertation..
8. Kim, C. W.2011.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rina port”, Hanyang University, Master degree Dissertation..
9. Kim, H. G.2019), Redevelopment project of the '10-year drift' Suyeongman yatch stadium, one full-scale, https://www.nocutnews.co.kr.
10. Kim, H. T.,, Han, G. S. and Kim, C. H.2006), “A Study of Causes & Resolution Methods of Conflicts Surrounding Ports”, KMI..
11. Kim, H. Y.,, Lee, C. H. and Yu, Y. H.(2015 “A Study on Prioritizing of Marina Safety Management Items by AHP”, Theory and Praxis, Vol. 11, No, 2, pp. 29-48..
12. Kim, J. R.2020), Public opinion against development of Unchon Marina grows, http://www.kookje.co.kr.
13. Kim, J. Y.2009. “ Impact of place attachment on residents' perception and support toward sports mega-event : the case of 2014 Incheon Asian games”, Kyung Hee University, Master degree Dissertation..
14. Kim, K. T.2000.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Formation of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Wide Area and Basic Unit Local Governments”, Kwangwoon University, PhD Dissertation..
15. Kim, N. G.2020. “A Study on Conflicts in Development of Marinas : Focusing on Marine Leisure Sports Facilities”,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Master degree Dissertation..
16. Kim, S. G. and Hong, J. W.2006), “A study on how to build a marina in a flexible fish tank”, KMI..
17. Lee, J. H.,, Kim, J. S. and Kim, N. G.(2019 “A Study on the Conflicts and Solutions in th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 Focusing on fishing village new deal 300”, Ocean Policy Research, Vol. 34, No. 2, pp. 113-138..
18. Lee, M. G.2011. “Conflict management of the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for Olegil in Cheju island”, Kyonggi University, PhD Dissertation..
19. Lee, S. H.2020), ‘Pohang Duho Marina' development project drifted for 4 years, http://www.hidomin.com.
20. Lim, H. S. and Ko, K. S.(2012 “Residents' Perception, Attitude, and Support toward Marine Tourist Destination Development”,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Vol. 8, No. 1, pp. 123-139..
2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10), “The 1st(2010-2019) Marina Port Basic Plan”, p. 1..
22.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20), “The 2nd(2020-2029) Marina Port Basic Plan”, p. 3..
23. Park, J. D.2013. “A Study on the Structure of Accomplishing Relationship, Accomplishing Development and Development Support of Marina Stakeholder's Cooperative Relationship of Marine Leisure Tourism”, Kyung Hee University, PhD Dissertation..
24. Park, S. W.,, Lee, S. W. and Lee, H. L.2014), “A Study on Conflict Management Measures of Fishing Community Project ”, KMI..
25. Shim, J. B. and Choi, S. D.(2007 “Research Articles : Factors Affecting Residents` Opposition in Tourism Development Policy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Vol. 22, No. 1, pp. 1-19..
26. Suh, D. H. and Kang, M. G.(2016 “The study of explore dissatisfied factors for residents of marina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5, No. 3, pp. 265-276..
27. Suh, D. H. and Kim, W. S.(2010 “The Effects of Marina Facilities on the Life of Residents in Kyeogin A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Vol. 23, No. 1, pp. 139-162.
28. Um, S. and Crompton, J. L.(1987 “Measuring resident's attachment levels in a host community”,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 2, No. 1, pp. 27-29.
29. Yang, H. W.2017. “Tourism development and regional conflict : case of mega ev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30. Yoon, Y. C.(2005 “A Case Study on a Big Deal of Environmental Facilities as a Strategy to Solve the Siting Conflicts”,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8, No. 4, pp. 53-73. .


ABOUT
BROWSE ARTICL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C1-327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727 Taejong-ro, Youngdo-gu, Busan 49112, Korea
Tel: +82-51-410-4127    Fax: +82-51-404-5993    E-mail: jkinpr@kmou.ac.kr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